눈이 시릴때, 안구건조증과 생활습관을 의심해야 한다고?

눈이 시릴때, 안구건조증과 생활습관을 의심해야 한다고?

안녕하세요. 삼성안과 입니다. 피곤하거나 장시간 컴퓨터 화면을 볼 때 눈 시림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래서 눈이 시릴때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면 나아질 거라 생각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하지만 눈 시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린 눈, 눈물이 흘러내리고 눈을 제대로 뜨기 힘들 정도로 불편할 경우에는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운전 중이거나 시각적 집중이 필요한 작업 중에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눈이 시릴때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 시림 증상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여 눈 표면이 건조해지는 상태를 말하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의 화면 사용, 환경적 요인, 렌즈 착용, 수면 부족 등이 그 주요 원인입니다. 컴퓨터, 스마트폰, TV 등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응시할 때 평균적으로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감소하여 눈 표면의 수분이 더 빨리 증발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눈이 건조해지며 시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건조한 실내 환경, 에어컨이나 히터 사용 등은 눈의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킵니다.

특히 겨울철 난방 기기 사용이나 여름철 에어컨 사용은 실내 공기를 건조하게 만들어 눈을 더욱 건조하게 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면 렌즈 표면에 눈물이 머무르기 어려워져 눈이 건조해지기 쉽습니다.

또한, 렌즈의 재질이나 착용 기간에 따라 눈의 건조함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눈의 피로가 쌓이고, 이는 눈물 생산에 영향을 미쳐 건조증을 악화시킵니다. 수면 중에는 눈물샘이 회복되고 눈의 피로가 풀리지만, 수면 부족 시 이러한 회복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눈이 쉽게 건조해집니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눈의 피로를 줄이고 눈물의 증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식적으로 자주 눈을 깜박여 눈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합니다. 특히, 집중해서 작업할 때는 깜박임을 잊기 쉽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눈을 깜박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콘택트렌즈 대신 안경을 사용하여 눈의 건조함을 줄입니다.

눈이 시릴때에는 화장품도 들여다 보셔야 합니다.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이나 자외선차단제의 성분이 눈에 들어가면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이는 눈 시림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외선차단제에 흔히 들어가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눈에 들어가면 시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성분은 피부에 바르는 자외선 차단제의 주성분 중 하나로, 눈 주위에 바를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옥시벤존 및 옥티녹세이트는 자외선차단 효과가 있지만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레티놀은 주름 개선을 위해 사용되지만 눈에 들어가면 자극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백 효과가 있지만 눈에 들어가면 시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페녹시에탄올은 방부제로 사용되며,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성분은 화장품의 유효 기간을 늘리기 위해 사용되지만, 눈에 들어가면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장품 사용 후 눈 시림이 발생하면, 성분표를 확인하여 위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 시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눈 건강을 지키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 건강에 좋은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합니다. 특히 비타민 A, C, E, 오메가-3 지방산 등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당근, 시금치, 고구마 등의 채소와 생선, 견과류 등이 좋습니다. 그리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여 눈의 피로를 풀어줍니다. 또한, 하루 중간중간 눈을 감고 휴식하는 시간을 가져 눈의 피로를 줄이길 바랍니다.

손을 자주 씻어 눈을 만질 때 눈에 세균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환경을 조성한다면,. 눈 시림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삼성안과 안과 전문의 김병진 대표원장

성인드림렌즈가격 부작용 착용법 알아보기